>    교육과 훈련    >    기독교 교리 교육

기독교 교리 교육

3월 21일 "기독론"
2018-03-22 13:45:27
이기원
조회수   210

10 교시 기 독 론(基督論)

   

󰁰 생각을 위한 질문

1. 예수 그리스도는 당신에게 어떤 존재입니까?

 

 

기독교 신앙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났으며, 그 분 안에서 하나님의 계시, 약속과 요구, 심판과 구원이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기독교가 다른 종교와 구별되는 것도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신앙고백에 있습니다. 따라서 예수를 누구라고 믿느냐이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리스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거나 그리스도와의 올바른 관계를 갖지 못하면 그리스도인의 자격이 없기 때문입니다. 기독교의 출발점이 되는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 이 시간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해를 위한 설명

 

.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16장의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예수를 누구라고 믿느냐 이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기독교의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이며 성경의 중심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거나 그리스도와의 올바른 관계를 갖지 못하면 그리스도인의 자격이 없다. 그러면 예수님을 어떻게 알아야 하는가? 앎의 차원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지식적인 앎이다. 예수님에 대한 지식적인 앎은 이런 것이다. 예수님은 기독교의 창시자, 종교가, 예언자, 세계 4대 성현 중의 한 명, 그중 가장 으뜸인 분 가장 선하며 훌륭한 분 2천년 전에 이스라엘 땅에서 인류를 위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었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기독교인들이 믿는 사람. 예수님에 대한 이런 지식은 일반 사람들도 사전을 들춰보면 알 수 있는 내용들이다. 이러한 지식으로는 예수님과 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관계가 없다. 인격적인 앎이 없기 때문이다.

또다른 하나의 앎은 인격적인 앎이다. 인격적인 앎이란 예수님과 나 사이에 인격적인 관계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물었다. “사람들이 나를 누구라 하느냐어떤 사람은 세례요한, 더러는 엘리야, 어떤 이는 예레미야, 혹은 선지자 중의 한사람이라고 한다고 제자들이 대답했다. 이러한 지식은 예수님을 사전적 의미 혹은 4대성현중에 한사람으로 아는 것과 별 차이가 없다. 그 다음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묻는다.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베드로가 대답한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베드로에게 복이 있다고 말씀하셨다. 왜 복이 있는가? 베드로는 예수님을 자기의 메시아로 믿었기 때문이다. 이 말은 우리는 예수님을 알되 신앙고백의 대상으로서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수님은 나의 전부임을 고백하는 믿음을 가지고 예수님을 나의 구주로 영접하고 나의 모든 삶을 주님께 맡길 때 우리는 예수님과 인격적인 관계가 형성되며, 주님은 다른 사람의 주님이 아닌 바로 나의 주님이 되는 것이다. 즉 나는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은 나의 하나님이 되시는 것이다.

 

. 그리스도의 본성

교회사를 살펴보면 예수의 신성을 부인한다든지, 아니면 예수의 인성을 부인한다든지 하는 예들이 많이 있었다. 또 어떤 이들은 훌륭한 종교가, 고행자, 가장 이상적인 인간형, 혁명가, 사회개혁가, 해방자, 민중의 친구 등 예수님에 대해서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올바른 관계를 맺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면 초대교회는 예수를 어떻게 알았을가? 초대교회가 핍박을 당할 때 예수를 믿는다는 일종의 암호로 사용했던 물고기라는 단어 속에는 초대교회의 예수에 대한 신앙고백이 담겨 있다. 그 뜻은 이렇다. ιησυs(예수), κριστοs(그리스도), θεοs(하나님), υιοs(아들), σοτερια(구원)의 첫 자인 ικθυs는 물고기라는 단어가 된다. 그러니까 초대교회가 사용했던 암호 속에 예수에 대한 신앙고백이 아주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로서 우리의 구세주라는 신앙고백이다. 이것은 예수는 우리의 구세주이며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일치한다. 이 고백 속에는 예수의 본성(本性)이 나타나있다.

 

1. 그리스도의 인성(人性) - 예수는 사람이셨다. 즉 하나님의 아들이셨다.

1) 2:11, 2:6-8

2) 2:40,52

3) 4:2

4) 4:6

5) 8:24

6) 26:12

7) 26:38

8) 19:28

9) 19:34

 

 

2. 그리스도의 신성(神性) - 예수님은 하나님이시다. 즉 우리의 구세주가 되신다.

1) 10:23-38

2) 요일5:20

3) 1:1-5

4) 5:18

5) 14:9

6) 14:13

7) 13:36-43

 

3. 그리스도의 본성(本性)에 대한 이단

1) 영지주의(Gnosticism) ; 가현설(Docetism) - 예수의 인성 부인

2) 에비온주의(Ebionism) ; 양자설(Adoptionism) - 예수의 신성 부인

3) 오리겐(Origen) ; 종속설(Subordinationism) - 성부 성자

4) 아리우스(Arius) ; 유사본질론(Homo iousia) - 성부 성자

 

. 그리스도의 이름

 

성경에는 그리스도에게 쓰여진 이름들이 많이 있다. 그 이름들은 그리스도의 존재, 성품, 상태, 직책 등을 나타내 주고 있다. 우리는 이름을 통해 예수님이 어떤 분 이신가를 알 수 있다.

 

1. 예수(Jesus) : 예수란 이름은 구약의 여호수아의 그리이스어 발음으로 그 뜻은 구원하다란 뜻이다. 예수란 이름은 가장 귀한 이름(4:12)이며 대표적인 이름이다.

예수란 이름의 뜻은 무엇인가?(1:21)

 

2. 그리스도(Christ) : 그리스도란 히브리어의 메시야란 단어와 같은 의미로 기름 부음을 받은 자란 뜻이다. 구약시대에 기름 부음을 받는 자는 왕, 선지자, 제사장이었다. 즉 예수는 우리의 왕으로 선지자, 제사장으로 오신 분이다.

안드레가 시몬에게 소개한 분은 누구였으며, 어떻게 소개했나?(1:40,41)

 

3. 인자(Son of Man) : 예수님은 자신이 인성을 가지신 사람이셨기에 자주 인자란 말을 사용하여 자신을 나타내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약 40회 이상이나 인자란 말을 사용하셨다. 당시 유대인들은 예수님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란 표현에 대하여 강한 거부감을 나타내었으므로 예수님께서 통상적으로 자신을 지칭하기에 가장 적절한 말로 여기셨다.

예수께서 자신을 표현할 때 즐겨 쓰신 가장 통상적인 칭호는?(19:10, 3:13-14)

 

4. 하나님의 아들(Son of God) : 베드로는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고백하여(16:16) 예수님께 칭찬을 받는다.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해 보내신 독생 성자이심을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 왜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리워지고 있는가?(1:35)

 

5. (Lord) : 라는 이름은 가장 보편적인 이름으로 히브리어의 아도나이(Adonai)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구약에서는 여호와 하나님께 사용된 이름이기도 하다. 신약에서는 보통 예수님에게 사용된 이름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불리워 졌다. 첫째, 정중한 표현으로 존경의 의미로 사용되었다.(8:2, 20:33) 둘째, 그리스도의 소유권과 그의 권위를 표현하는 말로 사용되었다.(21:3, 24:42) 셋째, 승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최고의 영적 권위를 나타낼 때 사용되었다.(12:36,37, 2:11, 2:36, 고전12:3, 2:11) 특별히 라는 이름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시고 승천하신 후인 지금도 교회의 주권자요 전 세계의 통치권자임을 나타내는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수님 당시의 사람들은 그를 어떻게 부르고 있었는가?(6:46)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 파일
14 4월 11일 "성령론" 이기원 2018-04-11 301
13 4월 4일 "구원론" 이기원 2018-04-05 264
12 3월 28일 "속죄론" 이기원 2018-03-30 261
11 3월 21일 "기독론" 이기원 2018-03-22 210
10 3월 14일 "은혜론" 이기원 2018-03-15 244
9 3월 7일 "죄 론" 이기원 2018-03-15 367
8 2월 28일 "인간론" 이기원 2018-03-15 257
7 2월 21일 "섭리론" 이기원 2018-03-15 277
6 2월 14일 "창조론" 이기원 2018-03-15 241
5 2월 7일 "신 론" 이기원 2018-03-15 215
4 1월 31일 "성서론" 이기원 2018-03-15 258
3 1월 24일 "계시론" 이기원 2018-03-15 224
2 1월 17일 "종교론" 이기원 2018-03-15 293
1 2018년 1월 10일 기독교 교리 이기원 2018-03-15 291
1